쿠버네티스 디버깅 프로세스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다.
apply -> get -> describe -> logs -> get event
1. yaml 파일을 이용해 오브젝트를 생성(apply)하고, 생성한 오브젝트 리스트는 get 명령어로 확인한다.
2.만약 파드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으면 상세한 설정 정보를 describe 명령어로 확인한다.
3. 이후 어플리케이션 관련 에러는 로그 명령어(logs)로 확인하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관련 메시지는 이벤트 명령어(get event)로 확인한다.
'Kubernetes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talLB를 이용한 로드밸런서 타입 서비스 구축 (0) | 2024.02.23 |
---|---|
kube-proxy 부하분산 설정의 이해 (0) | 2024.02.23 |
쿠버네티스 DNS 기능 이해 (0) | 2024.02.22 |
클러스터 설치 - kubeadm ver (0) | 2023.12.12 |
kubectl 명령어로 익히는 쿠버네티스의 주요 오브젝트 (0) | 202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