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tc/kubernetes/manifest 아이피 변경
/etc/kubernetes/manifest 하위 대상
cd /etc/kubernetes/manifest
sudo find . -type f -exec sed -i 's/192.168.137.30/192.168.56.30/g' {} +
2. 인증서 재생성
기존 X.509 인증서 중 재생성이 필요한 인증서를 지운 후 재생성
출처: https://github.com/kubernetes/kubeadm/issues/338?ref=jangho.io#issuecomment-407383077
cd /etc/kubernetes/pki
# apiserver 인증서 삭제
sudo rm apiserver.{crt,key}
# a. Default CIDR이 10.96.0.0/12 로 할 경우
sudo kubeadm init phase certs apiserver
# b. service-cidr, domain이 있는 경우
sudo kubeadm init phase certs apiserver --service-cidr '20.111.0.0/18' --service-dns-domain=test.local
# etcd 피어 인증서 삭제
sudo rm etcd/peer.{crt,key}
sudo kubeadm init phase certs etcd-peer
# etcd 서버 인증서 삭제
sudo rm etcd/server.{crt,key}
sudo kubeadm init phase certs etcd-server
etcd, apiserver restart (manifest에서 yaml 파일 제외하여 제거 후 다시 yaml 파일 넣기)
systemctl restart kubelet
3. kubeConfig 아이피 변경
~/.kube/config 의 cluster server 변경 필요
apiVersion: v1
clusters:
- cluster:
certificate-authority-data:
server: https://192.168.56.30:6443
4. configMap 점검
쿠버네티스 내부 ConfigMap 기존 IP 있는지 조회
kubectl get cm -A -o yaml | grep 192.168.56.30
'Kubernetes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가상 IP 및 서비스 프록시 (1) | 2025.06.18 |
---|---|
install kubenetes (0) | 2025.03.04 |
쿠버네티스 스토리지 (0) | 2024.02.26 |
MetalLB를 이용한 로드밸런서 타입 서비스 구축 (0) | 2024.02.23 |
kube-proxy 부하분산 설정의 이해 (0) | 2024.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