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ubernetes/Study

[K8s] Pod 생성 및 Probe

by lumination 2025. 6. 20.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동작 요청 비고
1 사용자 -> kubectl kubectl로 Deployment 생성 API 호출  
2 apiserver -> etcd Deployment 생성 API 요청을 받고, etcd를 통해서 Deployment 데이터 저장 Deployment 생성
3 controller-manager kube-apiserver로 계속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하다가
신규 Deployment가 조회되면 ReplicaSet을 생성하라는 API 요청
ReplicaSet 생성
4 controller-manager 생성 된 ReplicaSet을 보고 Pod를 생성하라는 API 요청 Pod 데이터베이스 생성
5 scheduler kube-apiserver를 통해서 노드 자원 모니터링 중
데이터베이스에 Pod(Object만 존재)가 생긴 게 확인되면 노드 스케줄링 작업 시작
항목 설정 참고
- nodeSelector
- resources
6 해당 워커 노드 kubelet kube-apiserver 통해서 모니터링 하다가 자신에게 스케줄링 된 Pod가 생긴 걸
감지하고, CRI에 컨테이너 생성 요청
 
7 containerd 컨테이너 생성 완료 컨테이너 생성
8 해당 워커 노드 kublet Pod의 Probe 설정에 따라 컨테이너로 헬스체크 진행 startupProbe
livenessProbe
readinessProbe
9 Service nodePort 으로 서비스를 생성해서 Pod에 연결  
10 해당 워커 노드 kublet kube-proxy한테 로컬 네트워크를 생성해달라고 요청  
11 kube-proxy iptables에 내용을 추가 (31231 port요청은 해당 service로 전달) calico가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