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리소스(기본 + 커스텀)는 공통 구조를 따릅니다:
apiVersion: ...
kind: ...
metadata: ...
spec: ...
status: ...
이건 “강제 규약(convention)”이라서,
리소스를 생성할 때 내부 컨트롤러나 kubectl explain 같은 툴이
자동으로 spec과 status를 구분해 처리합니다.
즉,
CRD의 스키마(openAPIV3Schema)에서 루트 수준에 spec이 있어야
Kubernetes가 리소스의 구조를 올바르게 인식합니다.
'Kubernetes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D (Custom Resource Definition) 만들어보자 (0) | 2025.10.14 |
---|---|
클러스터가 파드를 제어하는 방식 (0) | 2025.08.26 |
ServiceAccount (1) | 2025.08.26 |
[K8s] 가상 IP 및 서비스 프록시 (1) | 2025.06.18 |
[K8s] Controler-node ip가 변경될 경우 (0)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