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rvice] 쿠버네티스 서비스 사용하기 쿠버네티스 서비스에서는 파드 간 연결을 가리켜 파드를 노출(expose)한다. 라고 표현한다. 쿠버네티스 서비스는 동적으로 각 파드 간 연결을 제공한다. = 서비스 디스커버리한다. 쿠버네티스는 파드의 연결을 제공(Serve)한다는 의미로 서비스라는 용어를 쓴다. 클러스터 내부 혹은 외부 연결에 따라 서비스 타입을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클러스터 내부에서 파드와 파드를 연결: 클러스터IP (Cluster IP), 헤드리스(Headless)클러스터 외부에서 클러스터 내부의 파드를 연결: 노드포트 (NodePort), 로드밸런서(LoadBalancer)서비스는 쿠버네티스 리소스의 한 종류다이나믹하게 종료되고 생성되는 파드를 자동으로 발견(Service Discovery)한다.변경이 잦은 IP 주소가 아닌 지속.. 2024. 2. 22.
[Helm] 헬름 활용(3) 개요1. 헬름 템플릿 변수 파일 사용하기2. 리소스 Requests/Limits 이해1. 헬름 템플릿 변수 파일 사용하기vi templates/deployment.yaml{{- if .Values.resources }}resources: {{- toYaml .Values.resources | nindent 12 }}{{- else if ne .Values.resourcesPreset "none" }}resources: {{- include "common.resources.preset" (dict "type" .Values.resourcesPreset) | nindent 12 }} {{- if .Values.resources }}if 문을 사용해 resources 변수가 정의돼 있으면 해당 변수를 사용하도.. 2024. 2. 19.
[Helm] 헬름 활용(2) 개요1.헬름을 이용해서 Nginx 설치하기2. startup probe, liveness probe, readiness probe 알아보기helm repo add bitnami https://charts.bitnami.com/bitnami helm repo lsNAME URLgithub-ksh https://sunghyun-kim-nhn.github.io/k8s-study-helmbitnami https://charts.bitnami.com/bitnami helm search repo nginxNAME CHART VERSION APP VERSION DESCRIPTIONbitnami/nginx 15.11... 2024. 2. 19.
[Helm] 헬름 활용(1) 쿠버네티스는 리소스가 여러 개 필요한 경우가 많다. 파드 노출을 담당하는 서비스(Service)애플리케이션 설정에 관련된 컨피그맵(ConfigMap)기밀 정보를 다루는 시크릿(Secret) 다양한 리소스를 각각 관리하지 않고 하나의 패키지로 관리하는 도구가 헬름(Helm)이다. 주요 구성 요소헬름 차트(Helm Chart):여러 리소스의 묶음헬름 차트 하나로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일괄 설치 가능Chart.yaml: 차트에 대한 정보가 담긴 yaml 파일values.yaml: 차트의 기본 템플릿 변수 파일charts/: 차트에 종속된 차트들을 포함하는 디렉터리crds/: 커스텀 자원 정의templates/: values 파일과 같이 유효한 쿠버네티스 매니페스트 파일을 생성하는 템플릿헬름 리포지토리(Helm .. 2024. 2. 19.
[trouble] 잘못된 pod 생성 트러블 슈팅 wrong-nginx-version.yamlapiVersion: v1kind: Podmetadata: name: nginx-19spec: containers: - name: nginx-pod image: nginx:1.19.19 kubectl apply -f wrong-nginx-version.yamlName: nginx-19Namespace: defaultPriority: 0Service Account: defaultNode: worker-node1/192.168.0.62Start Time: Thu, 15 Feb 2024 14:50:54 +0900Labels: Annotations: .. 2024. 2. 15.
쿠버네티스 트러블슈팅의 기본 프로세스 쿠버네티스 디버깅 프로세스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다. apply -> get -> describe -> logs -> get event 1. yaml 파일을 이용해 오브젝트를 생성(apply)하고, 생성한 오브젝트 리스트는 get 명령어로 확인한다.2.만약 파드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으면 상세한 설정 정보를 describe 명령어로 확인한다.3. 이후 어플리케이션 관련 에러는 로그 명령어(logs)로 확인하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관련 메시지는 이벤트 명령어(get event)로 확인한다. 2024. 2. 15.